Topic

개발일기

매주 제가 개발한거나 일어난 상황을 일기형태로 기록하는 공간입니다.

서버 재구축 -2-

이 글을 쓰기 전부터 계속 설계를 지웠다가 테스트 서버를 지웠다 생성 했다 반복하면서 오픈스택을 어떻게 구축하면 좋을까 고민을 했는데 이번에 완성을 해서 한번 설명을 한번 해보겟습니다. Computer 6 위에 보이는 사진을 보면 Computer6가 거의 모든 기능을 가지고 운영을 하는데 이렇게 한 이유는 1. 성능은 250기가의 램과 40코어의 CPU 2개 소유
4 min read

서버 재구축 -1-

지금까지 저는 Proxmox와 PfSense를 이용해 서버를 관리하고 배포해왔습니다. 처음에는 서버를 자동으로 만들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서 굉장히 편리했습니다. 하지만 서버 신청이 많아지거나 네트워크 포트포워딩을 할 때, 모든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점점 커졌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이런 반복 작업 때문에 관리가 점점 귀찮게 느껴지더군요. 새로운 접근: 서버 6대를 활용한
4 min read

분리해보자! 홈네트워크

요즘 들어 많은 생각이 들고 있다. 그 생각이 뭐냐면.. 1. 집에 네트워크를 같이 공유하고 있는데 조금 불안해 2. 나는 나스나 업무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나하고 가족들하고 망분리가 필요할거 같해 3. 요즘 인터넷이 느린데 공격이 많이 들오나? 그래서 그냥 에잇 모르겟다 한번 해보자! 해서 구성을 해보았다. 먼저 홈네트워크를 분리하기 전에 아래와
5 min read

coolify 쿨...하게?

🧩 VM을 줘도 활용이 어렵다? 학교에서 가상머신(VM)을 만들어 배포해줘도, 학생들은 그것을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왜일까? 생각해보면 그 이유는 간단하다. * 학생들은 CLI 환경에 익숙하지 않다. * 리눅스 명령어를 써야 한다는 것만으로도 진입장벽이 높다. * 대부분은 GUI 기반의 윈도우 환경에 익숙하다. * 학교에서도 리눅스 실습이 아닌 간단한 이론만 가르친다. 결국, 우리가 아무리
3 min read

학과 인터넷 네트워크 점검 기록

나는 학과에서 서버실을 관리를 하면서 학과에 있는 인터넷도 잠시 관리를 하는데 저번주 부터 인터넷이 불안정 해져서 이게 무슨일 이지 하면서 나는 전산원에서 인터넷을 받아 뿌려주는 스위치를 확인하려 갔었다. 이것이 우리 학과로 인터넷을 부려주는 스위치이고 정보는 Cisco에서 제작을 했고 모델명은 C9200L-48P-4G이다. 이 스위치를 통해서 학교 외부망을 받아와서 다른 컴퓨터&스위치로
2 min read